Language/JAVA
둘째날 [변수 , 데이터 타입, 타입 변환]
구일일구
2022. 7. 22. 17:57
반응형
목차
1) 변수
2) 데이터 타입
3) 타입 변환
[1] 변수
* 변수 : 하나의 값과 타입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
* 변수 선언 : 타입 + 변수이름
* 변수 선언 규칙
- 첫번째 글자는 문자, '$', '_'
- 첫번째 글자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
- 영어의 대소문자가 구별됨
- 첫번째 글자는 소문자로 시작, 다른 단어가 붙을 경우 대문자로
- 문자 수의 제한 X
* 변수는 { }로 선언된 블록 안에서 사용
* 변수값 저장
int score; //변수 선언
score = 90; //값 저장
int score = 90;
* 리터럴(literal) : 변수의 초기값
- 정수 리터럴 : 소수점이 없는 정수(10진수), 0으로 시작(8진수), 0x 또는 0X(16진수)
- 실수 리터럴 : 소수점이 있음(10진수), 대문자 E나 e (10진수 지수, 가수)
- 문자 리터럴 : ' '로 묶은 텍스트. 하나의 글자만.
'\t' 수평 탭 '\n' 줄 바꿈 '\r' 리턴 "\"" 큰 따옴표 "\'" 작은 따옴표 "\\" \ - 문자열 리터럴 : " "로 묶은 텍스트, 문장 까지 가능
- 논리 리터럴 : true, false
[2] 데이터 타입
정수 | byte | 1 byte | 8 bit |
char | 2 byte | 16 bit | |
short | 2 byte | 16 bit | |
int | 4 byte | 32 bit | |
long | 8 byte | 64 bit | |
실수 | float | 4 byte | 32 bit |
double | 8 byte | 64 bit | |
논리 | boolean | 1 byte | 8 bit |
문자열 | string | string은 클래스임 |
* 자바는 실수 리터럴의 기본 타입을 double로 간주. 실수 리터럴을 float 타입 변수에 그냥 저장할 수 없다는 소리. 그러므로 실수 리터럴을 float 타입 변수에 저장하려면 리터럴 뒤에 소문자'f'나 대문자'F'를 붙여야 함.
[3] 타입 변환
* 타입 변환 : 데이터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
* 자동 타입 변환 Promotion : 작은 타입은 큰 타입으로 자동 변환 byte(1) < short(2) < int(4) < long(8) < float(4) < double(8)
* char타입이 int 타입으로 변환되면 유니코드값이 int값에 저장됨
* 강제 타입 변환 Casting : 큰 타입을 작은 타입으로 변환
작은크기타입 = (작은크기타입) 큰크기타입
* 연산식에서 자동 타입 변환 : 연산은 같은 타입의 피연산자 간에만 수행되기 때문에, 두 피연산자 중 크기가 큰 타입으로 자동 변환됨
* byte : 기본 데이터 타입 / Byte : 클래스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