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1. git에서 새로운 레포지토리 생성 2. VS CODE 열기 -> 새로운 폴더 생성 :: 내가 git에서 만든 레포지토리에 올릴 파일을 잔~뜩 넣을 폴더를 생성하는 것임니다 -> 새로운 폴더 안에 파일 생성 -> 파일 저장하기 3. 브랜치 모양 아이콘 클릭하기 -> Initialize Repository 클릭 => 안뜨는건 왜인지 몰라요.. (레포지토리 초기화하는 것은 "이제 이 폴더에 있는 파일들을 git명령어들을 이용해 관리하겠다는 말") 4. Repository 주소 복사하기 (https://github.com/~~~)으로 된거 5. Remote setting :: 이곳에서 작업 중인 파일을 github에 어떤 repository에 업로드할 것인지 설정하는 과정 -> 상단 바의 Terminal의..
캐싱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어딘가에 임시로 저장하고, 빠르게 꺼내 쓰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원본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때 유용함 정적 리소스(HTML, 이미지, JS, CSS)를 사용할 때마다 다운로드 => 많은 네트워크 비용이 발생 따라서 이와 같은 리소스를 어딘가에 캐싱해두면, 네트워크 비용이 줄어들고 로드 속도가 향상될 것 캐싱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하는 행위 캐시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 < 원본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 일 경우 많이 사용함 HTTP 캐시 데이터 접근을 위해 네트워크를 사용해야하는 웹 환경에서 캐시는 유용하게 사용함 HTTP 캐싱을 활용하면 웹 사이트의 로딩 시간을 개선할 수 있음 이미지, JS, CSS와 같은 파일들은 자주 변하지 않기 때문에 캐시를 사용하..
Bonobo Repository 생성 및 이클립스 연동 방법 Bonobo Repository 생성 및 이클립스 연동 방법 Bonobo Repository 추가 및 이클립스 연동 방법 Git 과 Bonobo Server 설치 방법은 아래의 Link를 확인하세요! Link : https://aljjabaegi.tistory.com/642 windows server Git 설치 windows server Git 설치 먼저 Git에 대해 간단하 aljjabaegi.tistory.com -새로고침된 내용을 받기 프로젝트 우클릭 → Team → pull 누르면 됨! 밑에서 두번째꺼 누르기!

* 필터와 인터셉터 : 특정한 서블릿이나 컨트롤러의 접근에 관여한다는 점에서 유사함 - 필터 : 스프링과 무관한 서블릿 자원 - 인터셉터 : 스프링의 빈으로 관리됨. 스프링의 컨텍스트 내에 속함 인증(Authentication)과 권한 부여(Authorization - 인가) * 인증 : '자신을 증명하는 것', 자기 스스로 무언가 자신을 증명할 만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 * 권한 부여 : 남에 의해 자격이 부여됨 * 인증 매니저 (AuthenticationManager) * ProviderMAnager는 인증에 대한 처리를 AuthenticaitonProvider라는 타입의 객체를 이용해 처리를 위임함 * AuthenticationProvider(인증 제공자) : 실제 인증 작업을 진행함 - 이때 인증된..
웹소켓(WebSocket) : 웹브라우저와 웹서버 간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- 실시간 알림, 채팅 등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메시지를 빈번하게 주고 받는 상황에 웹소켓을 적용함 - 스프링이 웹소켓 기반 클래스를 제공함 - 이를 통해 컨트롤러 구현하는 것과 같이 서버를 구현함 org.springframework spring-websocket 4.0.4.RELEASE //스프링4버전 WebSockHandlr를 이용한 웹소켓 서버 구현 스프링 웹소켓 기능은 스프링MVC를 지원하기 때문에, 스프링MVC에서 간단하게 서버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음 * WebSockHandler 인터페이스 구현 * 또는 @EnalbeWebSock()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앞서 구현한 WebSockHandler 구현 객체를..
22.1 파일의 확장자나 크기의 사전 처리 - 첨부파일의 확장자가 'exe, sh, zip' 등의 경우 업로드를 제한 : 첨부파일을 이용한 웹 공격을 막기 위함 - 특정 크기 이상의 파일은 업로드할 수 없도록 제한 22.1.1 중복된 이름의 첨부파일 처리 : 기존 파일을 덮어쓰기 해버리는 문제 - 중복된 이름의 파일 처리 문제: 현재 시간을 밀리세컨드로 구분해서 파일 이름 생성 or UUID를 이용해 문자열 생성해서 처리 - 한 폴더 내 너무 많은 파일의 생성 문제 : 일반적 방법은 '년/월/일' 단위 폴더를 생성하여 파일을 저장함 22.1.2. 년/월/일 폴더의 생성 - java.io.File에 존재하는 mkdirs()를 이용하여 필요한 상위 폴더를 한번에 생성할 수 있음 22.1.3 중복 방지를 위한..
PART6 파일 업로드 처리 CHAPTER 21. 파일 업로드 방식 1) 태그를 이용하는 방식 - 브라우저의 제한이 없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 - 일반적으로 페이지 이동과 동시에 첨부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식 - 을 이용해서 화면 이동 없이 첨부파일을 처리하는 방식 2) Ajax를 이용하는 방식 - 첨부파일을 별도로 처리하는 방식 - 을 이용하고 Ajax로 처리하는 방식 브라우저 상 첨부파일 처리 방식은 다양 서버 쪽에서의 처리는 대부분 비슷 : HTML코드 or JSON으로 처리 서버에서 주의해야 할 점 : 어떤 종류의 라이브러리와 API 등을 활용할 것인지 - cos.jar : 2002년에 개발 종료됨. 사용 권장X - commons-fileupload :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됨 - 서블릿 3.0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IndexError
- Math 클래스
- java.time.package
- 딕셔너리
- not_in
- Date 클래스
- FALSE
- 스레드 스케줄링
- Random 클래스
- 문자열함수
- StringBuilder 클래스
- Pattern 클래스
- StringBuffer 클래스
- 포장 클래스
- 역반복문
- 요소선택
- 파이썬
- Objects 클래스
- 자료형
- 프로그램
- StringTokenizer 클래스
- 리스트
- 순환할당
- 함수
- Format 클래스
- 리스트연산자
- 기본 API 클래스
- Arrays 클래스
- python
- Calendar 클래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