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연산자

계산 작업 

산술, 문자 결합, 대입(복합 대입), 증감, 비교, 논리, 삼항 조건 연산자

 

산술 연산자

종류 기본형 설명
+ A + B 더하기
- A - B 빼기
* A * B 곱하기
/ A / B 나누기
% A % B 나머지

 

문자 결합 연산자

피연산(연산 대상 데이터)가 문자형 데이터

여러 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로 결합할 때 사용

더하기에 피연산자로 문자형 데이터가 한 개라도 포함되면, 다른 피연산자 데이터는 자동으로 문자형 데이터로 변환

문자 결합이 이루어져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를 반환함

문자형 데이터 + 문자형 데이터 =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
"do it " + "javascript" = "do it javascript";

문자형 데이터 + 숫자형 데이터 =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
"100" + 200 = "100200"

 

 

대입 연산자

연산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때 사용

복합 대입 연산자는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가 복합적으로 적용된것을 말함

종류 풀이
A = B A = B
A += B A = A + B
A *= B A = A * B
A /= B A = A / B
A %= B A = A % B

 

증감 연산자

숫자형 데이터를 1씩 증가시키는 증가연산자(++)

숫자형 데이터를 1씩 감소시키는 감소연산자(--)

피연산자가 한 개만 필요한 단항 연산자

변수의 어느 위치에 오는가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짐

변수의 값을 1만큼 감소
변수--; 또는 --변수;

변수의 값을 1만큼 증가
변수++; 또는 ++변수;

 

var A = ++B;
B의 값을 1만큼 증가하고, 증가된 B의 값을 A에 대입

 

var A = B++;
B의 값을 A에 대입하고, B의 값을 1만큼 증가

 

비교 연산자

두 데이터를 '크다, 작다, 같다'와 같이 비교

연산된 결과값은 true(참) 또는 false(거짓)로 논리형 데이터를 반환

종류 설명 비고
A > B A가 B보다 크다  
A < B A가 B보다 작다  
A >= B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  
A <= B A가 B보다 작거나 같다  
A == B A와 B는 같다 숫자를 비교할 경우
자료형(type)은 숫자형이든 문자형이든 상관하지 않고
표기된 숫자만 일치하면 true를 반환
숫자 10 == 문자 "10" :: true
A != B A와 B는 다르다
A === B A와 B는 같다 숫자를 비교할 경우
반드시 숫자와 자료형도 일치해야 true를 반환
숫자 10 === 문자"10" :: false
A !== B A와 B는 다르다

 

논리 연산자

피연산자가 논리형 데이터인 true, false로 결과값을 반환함

종류 설명
|| or 연산자. 피연산자 중 값이 하나라도 true가 존재하면 true로 결과값을 반환
&& and 연산자. 피연산자 중 값이 하나라도 false가 존재하면 false로 결과값을 반환
! not 연산자. 피연산자의 값이 true이면 반대로 false로 결과값을 반환

 

연산자 우선순위

1. ( )
2. 단항 연산자 ( --, ++, ! )
3. 산술 연산자 ( * , / , % , + , - )
4. 비교 연산자 ( > , >= , < , <= , == , === , != , !== )
5. 논리 연산자 ( && , || )
6. 대입 (복합 대입) 연산자 ( = , += , -= , *= , /= , %= )

 

삼항 조건 연산자

조건식(true or false)의 결과에 다라 실행 결과가 달라지는 삼항연산자로, 연산을 위해 피연산자가 3개 필요함

조건식 ? 코드1 : 코드2

 
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