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Language/PYTHON

자료형 (2) 문자열 연산자

구일일구 2021. 6. 4. 18:35
반응형

문자열 연결 연산자 : +

>>> print("안녕" + "하세요"
안녕하세요
>>> print("안녕하세요" + "!")
안녕하세요!
>>> print("안녕하세요" + "3")
안녕하세요3
>>> print("안녕하세요" + 3)
에러에러~_~
  • 문자열은 문자열끼리만 + 기호 사용.
  • 숫자는 " " 붙여서 문자열로 인식시켜야 에러 없이 결과를 얻을 수 있음.

문자열 반복 연산자 : *

>>> print("안녕하세요" * 3)
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

>>> print(3 * "안녕하세요")
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
  • 문자열을 숫자와 * 연산자로 연결하면 문자열 반복 가능.
  • 문자열과 숫자의 순서는 상관 없음

문자 선택 연산자(인덱싱) : [ ]

인덱스 index : []기호를 이용해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를 참조하는 것

  • 문자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하는 연산자
  • [ ] 안에는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지정, 이 숫자를 인덱스라 부름
  • 파이썬은 제로 인덱스 zero index : 문자열 위치는 무조건 0부터 세는 유형
[0] [1] [2] [3] [4]
>>>print("안녕하세요"[0])
print("안녕하세요"[1])
print("안녕하세요"[2])
print("안녕하세요"[3])
print("안녕하세요"[4])

안
녕
하
세
요

  • 문자를 거꾸로 출력하기 위해선, 대괄호 안의 숫자를 음수로 입력하기
[-5] [-4] [-3] [-2] [-1]
print("안녕하세요"[-1])
print("안녕하세요"[-2])
print("안녕하세요"[-3])
print("안녕하세요"[-4])
print("안녕하세요"[-5])

요
세
하
녕
안

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(슬라이싱): [ : ]

슬라이싱 slicing: [:]기호를 이용해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는 것

문자열의 특정 범위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.

범위는 대괄호 안에 위치를 콜론으로 구분해서 지정

파이썬은 범위 지정 시 '마지막 숫자를 포함하지 않음'으로 적용

>>>print("안녕하세요"[1:4])
녕하세
>>>print("안녕하세요"[0:2])
안녕
>>>print("안녕하세요"[1:3])
녕하
>>>print("안녕하세요"[2:4])
하세

 

대괄호 안에 넣는 숫자 하나를 생략하여, 마지막 글자까지 혹은 첫 번째 글자까지 지정할 수 있음

>>>print("안녕하세요"[1:])
녕하세요
>>>print("안녕하세요"[:3])
안녕하

IndexError(index out of range) 예외

리스트/문자열의 수를 넘는 요소/글자를 선택할 때 발생

예를 들어, 다섯 글자인 "안녕하세요"에서 10번째 문자에 접근한다면 인덱스가 범위를 넘었기 때문에 index out of range라는 오류를 발생


문자열의 길이 구하기

len()함수 괄호 내부에 문자열을 넣으면 문자열에 들어있는 문자의 개수(=문자열의 길이)를 세어줌.

>>>print(len("안녕하세요"))
5

 

반응형
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료형 (4) 숫자 연산자  (0) 2021.06.05
자료형 (3) 숫자의 종류  (0) 2021.06.05
자료형 (1) 문자열 만들기  (0) 2021.06.04
파이썬 용어  (0) 2021.06.04
컴퓨터 프로그램  (0) 2021.06.04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