딕셔너리와 리스트의 차이점 자료형 의미 가리키는 위치 선언 형식 리스트 인덱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 인덱스 변수 = [ ] 딕셔너리 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 키 변수 = { } 딕셔너리 선언하기 딕셔너리는 { } 중괄호로 선언하며, '키: 값'의 형태를 따옴표(,)로 연결해서 만듦 키는 문자열, 숫자, 불 등으로 선언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문자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기본 형태 변수 = { 키: 값, 키: 값, ... 키: 값 } dict_a = { "name": "어밴져스 엔드게임", "type": "히어로 무비" } print(dict_a) {'name': '어밴져스 엔드게임', 'type': '히어로 무비'} 딕셔너리의 요소에 접근하기 리스트처럼 딕셔너리 뒤에 [ ] 대괄호를 입력하고 내부에 ..
리스트 연산자 (1) 연결(+) list_a = [1,2,3] list_b = [4,5,6] print(list_a + list_b) [1,2,3,4,5,6] (2) 반복(*) list_a = [1,2,3] print(list_a * 3) [1,2,3,1,2,3,1,2,3] (3) 길이 len() 함수 괄호 내부에 문자열을 넣으면 문자열의 글자 수(=길이)를 세어줌 리스트 변수를 넣으면 요소의 개수를 세어 줌 list_a = [1,2,3] print(len(list_a)) 3 요소 추가 (1) append() 함수 리스트 뒤에 요소를 추가함 리스트에 요소 하나만 추가 리스트명.appen(요소) list_a = [1,2,3] list_a.append(4) list_a.append(5) print(list_..
리스트 문자열, 숫자, 불 등은 어떤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자료형 : 개별적인 독립적인 '자료' 여러 개의 값을 나타낼 수 있게 해주는 자료형 : 독립적 자료를 모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형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 [ ] 내부에 여러 종류의 자료를 넣어 선언. 선언한 리스트를 출력하면 내부의 자료를 모두 출력 [ ] 대괄호에 자료를 쉼표로 구분해서 입력 리스트 선언하고 요소에 접근하기 요소 [ ] 대괄호 내부의 자료를 요소라고 하고, 영어로 element라고 부름 [요소, 요소, 요소, ...] 만약 다음과 같이 리스트를 선언했다면, list_a = [273, 32, 103, "문자열", True, False] 273 32 103 "문자열" True False 0 1 2 3 4 5 인덱..
else 구문 else 구문은 if 조건문 뒤에 사용 if 조건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되는 부분 if else 구문을 사용하면 훨씬 효율적 if 조건: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else 조건: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 👍 if 조건문에 else 구문을 추가해서 짝수/홀수 구분 # 입력 받기 number = input("정수 입력: ") number = int(number) # 조건문 사용 if number % 2 == 0: # 조건이 참일 때, 즉 짝수 조건 print("짝수입니다") else: # 조건이 거짓일 때, 즉 홀수 조건 print("홀수입니다") elif 구문 세 개 이상의 조건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 elif구문은 if 조건과 else 구문 사이에 입력 if 조건A: 조건A가..
if 조건문의 기본적인 구조 if 불 값이 나오는 표현식: 불 값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불 값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if의 조건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( : )을 붙여주기 if문 다음 문장은 4칸 들여쓰기 후 입력하기 if문 뒤에 불 값이 거짓인 경우 : 들여쓰기 된 명령문이 있더라도 아무것도 실행 X 조건문의 기본 사용 # 입력을 받습니다. number = input("정수입력> ") number = int(number) # 양수 조건 if number > 0: print("양수입니다") # 음수 조건 if number < 0: print("음수입니다") # 0 조건 if number == 0: print("0입니다") 날짜/시간 출력하기 (1) #날짜/시간과 관련된 기능 import datetime..
불린 Boolean 불은 오직 True(참)과 False(거짓) 값만 가질 수 있음 불 만들기 : 비교 연산자 == != = 같다 다르다 작다, 미만 크다, 초과 작거나 같다, 이하 크거나 같다, 이상 숫자의 대소 비교 문자열의 대소 비교 (한글은 가나다순으로 앞에 있는 것이 작은 값을 가짐) print(10 == 100) False print(10 != 100) True print(10 "하마") False 불 연산하기 : 논리 연산자 not 아니다 불을 반대로 전환 and 그리고, ~와 모두 참일 때 True, 이외 모두 False or 또는, ~이나 모두 거짓일 때만 False, 이외 모두 True not 연산자..
대소문자 바꾸기 upper() : 문자열의 알파벳을 대문자로 만듦 lower() : 문자열의 알파벳을 소문자로 만듦 a = "Hello Python Programming...!" print(a.upper()) print(a.lower()) HELLO PYTHON PROGRAMMING...! hello python programming...! 문자열 양옆의 공백 제거하기 trim strip() : 문자열 양옆의 공백을 제거 lstrip() : 문자열 왼쪽의 공백을 제거 rstrip() : 문자열 오른쪽의 공백을 제거 이때 공백은 띄어쓰기, 탭, 줄바꿈을 모두 포함 lstrip과 rstrip은 거의 사용하지 않음 input_a = """ 안녕하세요 문자열의 함수를 알아봅니다 """ print(input_a...
함수 function 사람 또는 사물의 기능 문자열의 format() 함수 중괄호 {}를 포함한 문자열 뒤에 마침표를 찍고 format()함수 사용 중괄호의 개수와 format 함수 괄호 안 매개변수의 개수는 반드시 같아야 함 # format()함수로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기 string_a = "{}".format(10) # 출력하기 print(string_a) print(type(string_a)) 10 숫자 10의 자료형은 문자열이 되었고, stiring_a에는 문자열 10이 들어있음 format이라는 함수는 {} 기호를 format의 괄호 안에 있는 매개 변수로 대체하는 것 {}기호 앞뒤, 사이에 다양한 문자열을 넣을 수 있음 # format() 함수로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기 format_a =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문자열함수
- 스레드 스케줄링
- 포장 클래스
- Format 클래스
- not_in
- 순환할당
- 리스트
- StringBuffer 클래스
- java.time.package
- 딕셔너리
- 리스트연산자
- 기본 API 클래스
- IndexError
- 역반복문
- 자료형
- Arrays 클래스
- Pattern 클래스
- Random 클래스
- Objects 클래스
- 요소선택
- StringBuilder 클래스
- Math 클래스
- 프로그램
- StringTokenizer 클래스
- Date 클래스
- 파이썬
- Calendar 클래스
- FALSE
- python
- 함수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