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Language/PYTHON

자료형 (5) 변수

구일일구 2021. 6. 5. 19:09
반응형

변수

  •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
  • 모든 자료형의 값을 저장할 수 있음

변수 만들기 / 사용하기

pi 라는 이름의 저장 공간에 3.14159를 넣고, pi라는 이름을 호출하면 저장 공간에 있는 값을 꺼내 출력

>>> pi = 3.14159
>>> pi
3.14159

 

1)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

  • 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. pi를 '사용하겠다'라고 선언하는 것

2)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

  •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의미. pi에 3.14159 값을 넣는 것
  • 이때 = 기호는 '같다'는 의미X. 오른쪽 값을 왼쪽에 '넣겠다', '할당하겠다'를 의미

3) 변수를 참조하는 방법

  • 변수에서 값을 꺼내는 것을 의미
  • 변수 안에 있는 값을 사용하는 것을 '변수 참조'라고 함

  • 변수에 저장된 값 출력
변수

 

  • 변수에 저장된 값으로 연산
변수 + 변수

 

  •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
print(변수)

 

⭐️다만, 변수에 어떤 자료형을 저장했는지 생각하기. 숫자와 문자열을 연산하는 것은 당연히 안됨


복합 대입 연산자

변수를 활용해 기존의 연산자와 조합해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

  • 숫자에 적용할 수 있는 복합 대입 연산자
숫자 덧셈 후 대입 +=
숫자 뺄셈 후 대입 -=
숫자 곱셈 후 대입 *=
숫자 나눗셈 후 대입 /=
숫자의 나머지를 구한 후 대입 %=
숫자 제곱 후 대입 **=
  • 문자에 적용할 수 있는 복합 대입 연산자
문자열 연결 후 대입 +=
문자열 반복 후 대입 *=
반응형
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문자열 함수 (1) format () 함수  (0) 2021.06.08
자료형 (6) 사용자 입력 : input( )  (0) 2021.06.05
자료형 (4) 숫자 연산자  (0) 2021.06.05
자료형 (3) 숫자의 종류  (0) 2021.06.05
자료형 (2) 문자열 연산자  (0) 2021.06.04
댓글